왜 비트코인인가?
- 비트코인의 성장 - 올해 지갑 소유자 700% 증가
- Shopify, 비트코인 결제 도입
- 아파치 재단, 비트코인 기부 받기 시작
- 한국 비트코인 거래소 코빗, 300만 달러 펀딩 (techcrunch)
비트코인에 대한 지난번 글이 나간 뒤 "전자적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도 있습니다만? 따라서 비트코인은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닙니다만?" 이라는 반론이라기보다 너는 이것도 모르냐는 시비을 많이 받았다. 내 주변 분들 중에서도 비슷한 질문을 주시는 분이 많아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쉽게 말해서 비트코인과 신용카드는 현금과 당좌 수표만큼이나 다르다.
현금과 당좌수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서 갑돌이가 을순이에게 백만 원을 줘야 한다고 생각해 보자. 현금으로 준다면, 그냥 건네주면 된다. 교환은 전적으로 두 사람 사이에서 즉시 이루어지며, 제 3자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A). 흡사 네x트 메신저에서 사용자끼리 파일을 주고 받듯이(A') "갑돌이 → 을순이"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당좌수표를 끊어 준다고 하면, 이야기는 약간 달라진다. 을순이는 수표를 가지고 갑돌이의 거래 은행으로 가서 돈을 찾아와야 하는 것이다(B). 마치 웹 공간에 누군가가 파일을 올려 두면 다른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가듯이 말이다(B'). 이 경우 교환 과정은 "갑돌이 → 중계자 → 을순이"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은행이 됐건 웹 서버가 됐건, 제 3자가 필연적으로 개입할 수밖에 없는 방식이라는 얘기다.
우리가 지금까지 흔하게 봐온 전자적 결제 수단들은 모두 후자에 속한다. 예를 들어 내가 싸이월드에서 도토리를 사면, 싸이월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내가 몇 개의 도토리를 가지고 있다는 기록이 남게 된다. 내가 그 상태에서 음원을 구매하면, 기록된 도토리 값이 차감되면서 뮤지션에게 판매액이 정산된다. 즉, "나 → 싸이월드 → 뮤지션"의 순서로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세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iTunes 스토어나 일반 신용카드 결제 역시 제 3자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B''). 중앙 집중적(Centralized)으로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비트코인의 특징이 나온다. 비트코인의 교환은 중앙 처리 서버 같은 것 없이 이루어진다(A''). 분산적인(Distributed)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마 비트코인 거래소가 털렸네 어쩌네 하는 뉴스는 다들 접한 적이 있을 테지만, 정작 비트코인 시스템 자체가 해킹당했다는 소리는 못 들었을 것이다. 처음부터 털 수 있는 대상이 없기 때문에 못 터는 것이다. iTunes 선불 카드 시스템이 중국 해커한테 털렸다느니, 싸이월드 서버가 해킹당했다느니 하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바로 이 점이 비트코인의 가장 큰 특징이며 성취다.
비트코인 시스템에 '무국적'이라는 말이 붙는 것도 바로 이것 때문이다. 교환 작업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서버가 미국에 있을 경우, 해당 거래는 미국에서 이루어진 것이 된다. 그런데 비트코인은 처음부터 교환을 처리하는 서버가 없다. '무국적'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이게 중요한 일이 될까? 간단하게 말해서 이건 중계 비용의 감소를 의미한다. 시간적 측면에서든, 금전적 측면에서든 말이다. 아마 시장에서 사소한 물건 하나 살 때마다 은행에 가서 당좌수표 대서(B)해야 한다고 하면 다들 속 터져 죽을 것이다. 그런데 이 한심무쌍한 짓거리는 실은 현재의 온라인 거래에서 매일같이 벌어지고 있는 일(B'')이다. 우선 중계인(카드회사)은 가맹을 요청한 판매자가 제대로 운영되는 데가 맞는지, 악의적인 사용(카드깡 등)을 하는 데는 아닌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자연히 결제 시스템 구축에 시간이 걸린다. 거래가 완료되고 나서 정산이 처리되기까지도 시간이 걸린다1. 이 과정에서 계속해서 중계인에 중계 수수료를 내야 함은 물론이다.
소액 결제의 경우, 불편함은 더욱 가중된다. 현재의 소액 결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 미리 일정액을 결제하여 적립한 뒤 실제 거래시 차감: 싸이월드 도토리, mp3 다운로드 서비스 등.
- 카드 정보를 미리 입력받은 뒤 정기적으로 카드사에 청구: iTunes 스토어 등.2
어떤 것이 되었건 간에, 포탈 서비스나 iTunes 스토어 같은 대형 판매자가 아니면 선택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게다가 거래 시간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카드도 느린데 이건 더 느리다. 내가 연주한 음악은 틀림없이 팔렸는데, 정산이 안 되어 내 주머니에 돈이 안 들어온다면 미칠 일 아닌가? 그나마 한국은 금융 거래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어서 차라리 나은 거다. 미국에서 계좌이체 같은 거 하면 사흘씩 걸릴 때도 있다. 유럽 연합? 말할 것도 없다. 한국에 거주하는 생산자가 미국의 판매자에 위탁 판매한 상품을 유럽에 사는 소비자가 구입한다면? 이쯤 되면 문제가 산으로 간다. 인터넷 상거래가 발달하면서 국경을 넘어선 거래, 소액 거래는 더더욱 빈번해지고 있는데 말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방법은 단 하나, 처음부터 중계인 없이 돌아가는 교환 시스템(A)을 구축하는 것 뿐이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이것을 처음으로 해냈다(A'').34 물론, 나는 '비트코인은 달러나 유로와 같은 화폐다.' 라는 일부 비트코인 열성 지지자들의 주장에 회의적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을 두고 볼 때, 이 친구들이 이런 소리를 하는 이유도 대략은 짐작이 간다.
한가지 확실히 해 두기 위해 첨언하자면, 위에서 내가 설명한 내용들은 모두 기술적인 측면에만 해당된다. 나는 비트코인이 실제 화폐처럼 기능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며, 돈 들여 투자할 만한 물건인지도 잘 모르겠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이 기술이 어떻게 다듬어져 나갈지에 대해서는 큰 흥미를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 2015년 4월 4일 추가: 약간 초점이 다르긴 하지만, 이 글도 비슷한 맥락이다. '중계자'가 없다는 얘기는 뒤집어 말하면 개인 정보 보호 측면에서 훨씬 더 좋다는 얘기도 된다.
-
돈이 들어오는 데 아무리 빨라도 일주일이라고. 괜히 소상공인들이 현찰 결제하면 할인해주는 게 아니다. ↩
-
iTunes 계정에 미국 신용카드를 연결해 놓고 사용하면 구매가 이루어지고 일정 시간 뒤 청구가 이루어진다. 내 경험으로는 24~36시간 가량 걸리는 듯하다. ↩
-
실제로 뉴욕타임즈에 "왜 비트코인이 중요한가(Why Bitcoin Matters)"라는 글을 기고한 벤처 캐피털리스트 마크 앤드리슨 역시 해당 글에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좀 더 학술적으로 말하자면, 비트코인은 컴퓨터과학의 고전적인 문제인 비잔틴 장군 문제에 대한 최초의 실용적인 해법이다: "Bitcoin is the first practical solution to a longstanding problem in computer science called the Byzantine Generals Problem." ↩
-
그런 점에서 비트코인의 가장 큰 특성이 익명성, 무국적성이라고 설명하는 한국 언론들의 수준은 실로 한심하다 할 수 있겠다. 애시당초 비트코인은 전체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결제를 받기 위해 자신의 지갑 계정을 공개한 피자집이 있다고 할 경우 이 피자집의 입출금 내역 역시 전부 공개된다 - 익명이라고 하기 힘든 것이다. 이 정도면 이해는 하고 기사를 쓴 건지 의심스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