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사회성의 n가지 그림자

※ 이 글은 사회성 이야기의 첫 번째 글입니다. 사회성 없는 실력자?로 이어집니다. 1. 개발자 사회를 돌림노래마냥 떠도는 주제 중에 하나가 사회성입니다. 개발자에게 있어 사회성이란 얼마나 중요한가? 얼마 전 무슨 이유에서인지 이 떡밥이 또 터졌더군요. 지인들과 모여서 이야기를 하는데 다들 여기에… (더보기)

코딩은 전산학과에서 배우는 것인가? (2)

(1편에서 이어집니다) 왜 모두가 코딩을 하고 있는 것일까?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연산 폭주 시대 앞서 예로 들었던 공학용 계산기 이야기로 돌아가자. 우리가 흔히 지나치는 것이지만, 현대 공학은 극도로 복잡한 수학적 모델 위에 건설된 대성당이라고 할 수 있다. 잘… (더보기)

코딩은 전산학과에서 배우는 것인가? (1)

코딩을 배우려면 전산학과1에 가야 한다? 코딩은 프로그래머만 하는 일이다? 둘 다 틀렸다. 뉴욕시·구글, 어린이들에 '컴퓨터 코딩' 교육 윤종록 차관, 교육부 반대에도 "SW 수능과목화 추진" 재차 밝혀 [한수진의 SBS 전망대] "'코딩' 초등 정규과목 포함 논란? 영국은 5살부터 의무교육" 요즘 SW 교육… (더보기)

아주 작은 기여 하나

언젠가부터 내게 던져지는 질문들에 대한 생각들. 1. "컴퓨터 전공해서 참 좋겠어요." 언젠가부터 이런 말을 듣는 횟수가 부쩍 늘었다. 아마도 하루가 멀다하고 화제가 되는 IT 기술 때문일 게다. IT 기업들의 행보 하나하나는 화제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다른 산업 전체를 합친 것만큼이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