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죽 갑옷에서 철제 갑옷으로

4세기 종장판갑. 경주 구정동. 국립 경주박물관 소장.

그러면 종장판갑은 어떻게 등장했을까요? 대체로 한반도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했을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근거가 있습니다.

첫 번째 근거는 이러한 형식의 갑옷이 한반도 남부와 일본에서만 발견된다는 것입니다. 그나마 일본에서 발견되는 갑옷들은 한국에서 발견된 것에 비해 미성숙한 모습을 보입니다. 한반도 남부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져서 해상 교역로를 타고 일본으로 전파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두 번째 근거는 처음부터 상당히 완성된 형태로 등장한다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종장판갑으로 생각되는 유물은 울산 중산리 75호분에서 발굴된 판갑입니다. 이미 이 갑옷에서부터 종장판갑이 가지는 기본적인 특징들을 어느 정도 갖춘 상태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철로 갑옷을 만들기 전에 제작 방법이 어느 정도 정립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면 초기의 종장판갑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요? 아마 가죽이나 나무 등일 겁니다. 한국의 고분에서는 옻 덩어리가 출토되곤 하는데, 가죽 갑옷에 옻칠을 한 것이 썩으면서 옻만 남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국과 비슷한 갑옷 문화를 공유하는(영향을 받은) 일본의 경우, 매우 희귀하지만 나무 등을 깎아 만든 갑옷의 유물이 몇 점 전합1니다. 따라서 이전의 가죽 갑옷이 공격 무기의 강화에 따라 철제로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울산 중산리 출토 종장판갑. 갑옷의 어깨 부분에는 가죽을 덧댔는지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 있다. 국립 김해박물관 소장.

흔히 가죽 갑옷이 얼마나 방어력이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본래 갑옷은 가죽으로 만드는것입니다. 중국의 고대 문헌인 주례(周禮)는 여기에 대해 "예전에는 가죽으로 만들어 갑(甲)이라 하고, 이제는 철로 만들어개(鎧)라 한다." 고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가죽 핸드백이나 가방 등과는 달리 굳혀 만든 가죽은 그 강도가 상당하며,전투에서 충분한 방어력을 보일 수 있습니다 - 무엇보다 가죽 갑옷 정도만 해도 매우 비싸기 때문에 입기 힘듭니다.

현재까지 종장판갑은 변한과 진한 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마한 지역에서도 전통적으로 쓰여 왔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조금 더 발전된 형태의 판갑이 마한 지역에서 발견된 적도 있습니다. [기사링크] 중국측 사서에도 마한에서는 보병을 주축으로 한 전쟁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언급하고 있는 만큼, 보병들이 입기에 안성맞춤인 판갑은 삼국시대가 시작되기 전부터 사용되기 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아직 가죽제였겠지만요. [연관글: [삼한 시대의 장궁](https://blog.gorekun.com/1307)]


  1. 하마마츠시 박물관에 소장된 나무 갑옷 조각. 팔갑옷과 어깨 갑옷으로 보인다. 나라 토다이지산 고분에서 출토된 4세기 후반의 옻칠한 가죽 판갑 조각, 효고현 니시노산 고분에서 출토된 5세기 후반의 등나무 판갑 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