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죽음, 당연한 거 아냐?
1.
고대 그리스에서 교육의 목적은 그대로 지덕체를 갖춘 훌륭한 자유시민을 양성하는 것이었습니다. 자연히 논리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한 철학· 기하학과 아름다운 몸을 가꾸기 위한 체육활동이 장려되었죠. 반면 실용적인 학문은 그리 대접을 받지 못했습니다. 숫자를 가지고 하는 계산 같은 건 천한 노예들이나 하는 일이었죠. 이들에게는 당연히 일반 시민과 같은 교육이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사고 방식은 그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중세 유럽의 교육 목적은 게르만 야만족들의 지배로 사라져 버린 고대 그리스· 로마의 이상 사회를 부활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자연히 대학 교육도 고대 그리스· 로마의 철학이나 기하학, 고전 문학 등을 아주 중시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중세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이렇게 서양 인문학의 전통은 이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서 쌓아올려진 것입니다. 프랑스의 대학 입시에서 철학적인 논제를 주고 그것에 대해 논하게 하는 것은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한 확신 때문인 겁니다.
2.
그런데 우리나라나 일본은? 사정이 다르죠.
전통적으로 이 나라들에서 인문학이라는 것은 유학이었습니다. 정치논리란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 인문학이 (좀 과장해서) 출세를 위한 도구, 혹은 양반 계급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놀이개나 다를 바가 없었습니다. 뭐 중세 유럽의 신학도 출세를 위한 것임에는 마찬가지였지만 그 동네는 성직자로 출세하는 것 말고도 상인이든 기사든, 이런저런 출세 방법이 많았습니다.
근대 이후에는 국가적인 신식 고급 관료나 교사, 장교를 양성하기 위한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대학 교육의 목적이란 이러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지금의 도쿄 대학교는 처음부터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유럽의 대학처럼 인문학과 같은 기초교양 교육에 별다른 관심이 없습니다. 자연히 도쿄 제국 대학 경성분교에서 출발한 서울대도 그 범주에서 벗어나질 않습니다.
이쯤 되고 보면 사람들은 인문학의 가치를 모릅니다. 철학이나 역사 같은 것은 그저 한가한 잡담 정도로밖에는 안 보이겠죠. 일본 우익 작가가 카이사르 동인지처럼 써제낀 웃기는 책이 훌륭한 역사서로 만인에게 인정되는 코메디는 이러한 환경에서 가능한 겁니다.
3.
70~80년대까지 서울대 인문대에 사람이 충분히 몰렸던 것은, 인문학에 대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 바로 거기가 서울대였기 때문입니다. 일단 서울대만 나오면 능력 있는 사람으로 인정되는 마당이라 연세대학교 꼴찌 입학이 고려대학교 수석보다 점수가 나은 게 당연하던 시대였기에, 대학은 간판 따러 들어가고 진짜 공부하려는 건 대학원 가서 공부하는 경우가 수두룩했습니다.
반면 지금의 한국인들은 훨씬 합리적입니다. 기업은 대학 좋은 데 나온 사람보다 직업적으로 관련된 분야를 공부한 사람들을 원합니다. 이 마당에 출세하는 데 도움도 안되고 관심도 없는 인문학 따위를 누가 하려 들겠어요?
4.
개인적으로 역사나 철학 쪽에 쥐꼬리 다섯 개 만한 관심은 있어서 인문학 수업도 좀 들었고, 방에 책도 좀 있습니다.
하지만 인문학을 살리겠다고 세금을 쓰는 건 아무리 봐도 밑빠진 독에 물 붇기요,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같습니다. 뭔가 획기적인 전기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면 모르겠는데, 이런 건 사람이 인위적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니죠.
어떤 분들은 이렇게 말씀하실지도 모릅니다. "넌 컴퓨터 만지작거리는 거하고 장사하는 거 공부했으니 그런 소리가 나오는 거 아냐?" 예, 그럴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옛 말에 "개는 주인을 위해 짖고 사람은 배운 대로 떠드나니" 라고 했으니, 이상할 것은 없겠죠.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현실이라는 건 생각보다 훨씬 참혹한 것 같습니다.
…본래 대학의 의도는 어느정도 인격을 쌓는 의도가 있었다고도 들었습니다.
캐나다에서 쟁쟁한 은행 본점 매니져가 대학에서 영어 코스 다시 신청해 완수 밟고 온 이야기가 있답니다.
여긴 비록 억지 수준이지만 인문학-특히 문과/언어/국어에 해당되는 영어랑 철학 코스들-을 고등학교때부터 중요시 하더군요.
국어 시험 패스 못하면 고등학교 졸업 못하..
카톨릭 고등학교에서 지리와 불어 필수… 역사나 철학 둘중 하나는 들어야 함..
대학 가면 다시 국어시험 봐서 패스 못하면 engineering(한국어로 뭐라 하더라.. 씁;) 과 에서 떨어지.. 철학 코스 듣는 옵션 권장.. 등.
…인문학 문제가 빨리 개선되서 판타지 무협 등의 소설 시장이나 좀 살아났으면 좋겠는데. (..아니 그전에 대여점, 독자 도덕성을 탓해야 하나..)
위의 본문을 갖고만 말하자면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이상적인 인간을 만들고자 한 것과
이상적인 인간을 만들어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것이 한쪽을 그렇게 폄하할만한 이유가 됩니까?
어차피 사람 사는 세상에서 얼마나 차이 났을 것 같지도 않습니다만..^^
너무 한참 뒤의 글을 갖고 댓글을 쓰니 조금 민망하네요^^;
이상사회를 만들기 위해 이상적인 인간을 만들고자 한 거라뇨? 그게 뭔데요?
제가 그리스 로마의 인문학을 높이 평가하는 건 논리적인 정합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상사회니 뭐니 하는 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굉장히 유교에 대해서 삐딱한 시선을 갖고 계신듯하네요. 본문에 의하면 마치 동양엔 인문학이 없는 세계로 보고 계시네요. 유교를 ‘정치논리’라고 단언하십니다. 동양의 인문학은 고사하고 동양의 철학만 해도 유교뿐만아니라 도교, 불교도 있죠. 그리고 고어핀드님 말처럼 유학은 정치논리?도 있지만 그게 다는 아닙니다. 유학은 정치철학인 동시에 도덕철학입니다. 유학의 목표를 한마디로 ‘내성외왕’입니다. 개인의 도덕적으로 훌륭한 사람이 되서 사회를 다스린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고어핀드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유학의 단순히 정치논리가 아닙니다. 동중서 이래로 유학이 정치 이데올로기화되었을 뿐입니다.
왜 유학이 서양처럼 논리적 정합성도 없이 허무맹랑한 소리를 하냐고 물으신다면, 유가를 비롯한 제자백가는 춘추전국시대에 혼란한 시대상황에서 어떻게 사회를 바로잡을까하는 고민한 동양의 지식인들입니다. 이를 ‘우환의식’이라고 합니다. 실재적인 삶에서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주류를 이뤘고, 굳이 서양철학의 편제에 따르자면 윤리학과 형이상학이 발달했습니다.
반면 서양 문화는 그리스도교와 그리스문화(철학)이 그 뿌리입니다. 그들은 자연에 대한 공포, 경외심과 호기심에서 학문이 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서양은 지식을 추구하는 학문풍토가 자리잡힌 것이죠. 서양은 인식론이 발달하고 고어핀드님이 높이 평가하시는 논리적 정합성 또한 중요한 특성이 되는 것이죠.
한마디 덧붙이자면… 불교철학도 서양철학 못지 않게 논리적이라고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