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군의 재구성
흔히 폭군의 대명사로 통하지만, 진시황은 업적이 참 많은 사람이다. 그의 업적은 서른 아홉의 나이에 중국을 통일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 지역마다 서로 다르던 문자1와 도량형을 통일한 것이 진시황이다. 무엇보다 전국을 잇는 도로를 건설하고 군현제라는 중앙 집권 체제를 완성시켰다. 이 제도가 훗날 중국의 통일 왕조들에게 한결같이 채택되었다는 걸 생각하면, 얼마나 대단한 업적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흔히 나쁜 군주의 표본으로 여기는, "주색에 빠져 국정에 소홀한" 사람도 아니다. 하루에 30kg의 서류2를 읽고 결재할 정도로 성실한 사람이다. 그뿐인가. 당대의 일류 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정도의 학식도 있고, 정책을 결정하기 전에는 신하들에게 토론을 하도록 한 다음에 결정할 정도로 합리적인 면도 있다. 반면, 진시황의 잔인함을 설명하는 기록들은 상당수가 그 진실성을 의심받기까지 한다. 억지로 지어낸 듯한 흔적이 많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진시황은 흔히 말하는 폭군의 이미지와는 꽤나 동떨어진 사람이다 - 그가 현대로 오면서 오히려 재평가받고 있는 것도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나 또한 진시황의 팬 중 한 사람이었다. 최근 김태권님의 『한나라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그의 또다른 면을 볼 수 있지 않을까 내심 기대했다. 다 읽고 두 가지로 놀랐다. 하나는 내가 아는 것 이상의 새로운 정보는 없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내가 지금까지 잘못 생각했다는 점이다. 진시황은 폭군이다. 그것도 무시무시한.
사람의 마음을 모르는 황제
진시황이 하는 행동들은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하나는 비범한 능력과 초인적 성실성을 보여 준다는 것. 그리고 또 하나는 상대방의 마음을 전혀 헤아릴 줄 모른다는 것이다.
진시황이 아직 젊었을 때의 일이다. 권세가 센 신하 한 사람이 죄를 지어 자살을 하였는데, 진시황은 그의 장례식에서 울음을 터트린 사람을 모두 잡아서 죽인다3. 높은 대신이라면 후원해준 사람도 많고 은혜를 베푼 사람도 많다. 자신에게 은혜를 베풀어준 사람이 죽었다면 눈물을 쏟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진시황 눈에는 그게 "언젠가 복수하겠다고 덤벼들 잠재적 암살자" 정도로밖에 안 보이는 것이다.
매사가 이런 식이다. 그에게 남의 심정은 안중에도 없다. 천하를 통일할 때도 그랬다. "각국의 주요 인물에게 돈을 주어 구워삶고,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자객을 보내 죽이며, 마침내 군대를 보내 멸망시킨다." 진시황은 자신이 얼마나 많은 원한과 공포를 만들었는지 알까? 아니, 생각이나 해본 적이 있을까?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을 암살하려는 사람들이 나타날 때마다, 진시황은 더 큰 공포로 그들을 억눌렀다. 하지만, 그에 대한 반감의 상당 부분은 그 공포감에서 나온 것은 아니었을까? 쥐가 고양이를 무는 때는 궁지에 몰렸을 때 뿐이다.
틀림없이 진시황은 유능하고 성실한 사람이다. 성실은 대체로 좋은 가치지만, 이 경우는 얘기가 다르다. 성실이란 거꾸로 생각하면 스스로에게 모질다는 이야기다.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릴 줄 모르는 사람이 그 모짊의 잣대를 남에게 들이대는 순간, 무슨 일이 벌어질지 설명이 필요할까? 더 무서운 건, 이 사람이 비범한 능력의 보유자라는 거다.
정치의 근본은...
"...백성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입니다."
아직 신입생이던 시절, 나는 논어에 대한 수업을 들었다. 한 학기가 지나간 뒤, 교수님은 이렇게 강의를 정리하셨다. "인의예지의 기본은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누구보다 공부를 잘 했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 학교 학생들이 타인의 마음을 잘 이해하는 것 같지는 않더군요. 명심하십시오.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지 않는 지식은 흉기밖에 안 됩니다."
학점이야 썩 좋았지만, 그 때 나는 교수님 말씀에 시큰둥했다. '저렇게 물러터진 생각을 하다 일본에 나라를 뺐겼지'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지금 돌이켜 생각하니, 그 말이 참으로 옳은 것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진나라를 이어 천하를 통일한 한나라는 진나라의 법과 제도를 받아들이면서도 통치 이념으로는 유학(儒學)4을 선택한다. 진시황같은 괴물이 나타나는 것을 경계해서가 아니었을까. 조선이 망한 것도 유교 때문이라기보다 나같은 헛똑똑이들이 시험 잘 봐서 벼슬자리 차고 앉아있어서일 게다. 공부를 하고도 그 뜻을 모르니 헛똑똑이가 아니면 대체 뭔가?
한가지 더.
그러나저러나 정말 우습군. 같은 내용을 읽으면서도 전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걸 보니.
이전의 내가 모질었던 건지 아니면 지금의 내가 물러터진 건지.
대전체, 소전체, 예서체가 주류 서체였는데 모두 소전체로 통일했죠. 유방암 한나라는 예서체를 썼고.
음, 그랬던가요? 진나라 전의 주나라는 대전체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진나라 후의 한나라가 예전체였고.
저 논어에 관한 수업이란
중국어과 김월회 선생님이 하시는
핵교 중국 고전의 이해?
저도 그 생각했는데 ‘ㅁ’
아니라능. ‘ㅅ’
공대 교수들이 진시황 같은 스타일이 많다능 (…)
고어핀드 군도 꽤나 그런 스타일이었다능… 그렇다능…
아마 읽어보았을지도 모르겠지만, 콜린 윌슨의 범죄심리학 저서인 ‘the criminal history of mankind’를 추천(국내 번역본 제목은 ‘잔혹’. 총 2권임). 진시황같은 타입의 인간을 그 책에서는 ‘확신인간’이라 정의하고 있지요. 그러한 확신인간이 국가적 권력을 잡으면 히틀러나 스탈린처럼 제노사이드를 일으키는거고, 일반인으로 살더라도 사람의 생명을 좌지우지하는 권력을 즐기고 싶어지면 연쇄살인범이 되는 것임.
예, 일전에 다른 글을 쓰면서도 느꼈던 거지만 이 분야에 대해서 콜린 윌슨만큼 통찰력을 보인 사람은 없어 보이더군요: http://blog.gorekun.com/704
천하통일의 과정이나 결과라는 역사적 사실만으로 이미 그는 폭군이 아닐까요?
나름 규칙이 있었겠지요.
삐딱하면 모두 죽인다.
사람이든 마을이든 나라든…
뭐 결과적으로 전쟁을 즐겼거나 유혈 낭자했던 인물로 치면 더 있었을 겁니다. 시대가 시대이니까요. 하지만 인간에 대한 무관심을 저 정도로 일관적으로 밀어붙인 사람은 진시황 하나뿐이었을 겁니다.
명심하십시오.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지 않는 지식은 흉기밖에 안 됩니다.”
=>00같은 곳의 소위 지식인들을 비롯해서 이 말을 귀담아들어야 할 사람들이 요즘은 참 많은 것 같더군요. 문제는 그런 사람들은 거의 귀담아 듣지 않았다가 나중에 죽을 때가 되어서나 후회한다는 거죠.
진시황이 생전에 불로불사에 광적으로 집착해 거금을 들여 바다 건너 한반도 등에 서복을 보내고, 그것도 모자라 불로불사의 비법을 안다는 각지의 사기꾼들에게 휘둘렸던 걸 생각하면 자신도 무의식중에 자신의 공포정치가 자신이 죽거나 하면 문제가 생겨 자신의 업적들이 무너질 것을 염려해서 삶에 집착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네요.
타인을 그만큼 신뢰하지 않았겠죠. 나만이 이걸 유지할 수 있다, 뭐 이런 식.
김태 님 링크 타고 왔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유능과 성실함이란 결국 칼이 되는 것이겠지요. 리뷰 재밌게 읽었습니다. :)
앗, 스프린터님 블로그에서 자주 뵙던 레오폴드님이시군요.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신 것을 환영합니다. :)
사실… 이 글은 반쯤 제 스스로에 대한 반성으로 쓴 글이었습니다. 글 서두에서도 밝혔습니다만, 저는 진시황을 꽤나 좋아했고, 실제로 진시황스러운 캐릭터였거든요. 성실하고 능력 있다는 평이야 들었습니다만,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데는 게을렀습니다. 최근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고치려고 노력중입니다.
과찬의 말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종종 들러 주세요 (–)(__)
오다 노부나가의 전국시대나 체자레 보르지아의 중세 이탈리아처럼, 혼란기는 사이코패스 왕들이 자라나기 딱 알맞는 환경인 것 같아요. 사춘기 넘어가면서 아버지는 아들을 경쟁자로 인식하고, 다른 왕자들과도 후계 싸움 벌여야 하고, 좀만 어리버리하면 노회한 신하들한테 업신여김 받다가 칼침 맞고 자리 뺐기고. 음모와 모략이 판치는 주변환경일수록 감정을 최대한 억누르거나 아예 없애야 생존하기에 유리하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잔인한 질서와 분열과 다툼의 무질서 중 어느 것이 더 인간적일까요?
동의합니다. 저런 괴물이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건 아니겠죠. 다만, 저는 저런 사람이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 그리 질서 있다고 생각되지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