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검으로는 명 도독 진 린의 보고를 받은 명나라 신종이 이순신에게 선물로 내린 귀도와 참도도 있지만, 이순신 장군검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아산 현충사에 소장된 쌍수도 두 자루를 가리킵니다.

제원

https://live.staticflickr.com/65535/2923808309_80d6755bc7_b.jpg

이순신 장검. 아산 현충사 소장. (출처: 개인 촬영. flickr@gorekun)

보물 제 326호인 충무공 이순신 장검은 크기가 197.5cm이고 무게는 5.3kg 나 되는, 상당한 중장비입니다. 검명은 三尺誓天 山河動色 一揮掃蕩 血染山河(삼척서천 산하동색 일휘소탕 혈염 산하 - 석자 되는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과 물이 떨고, 한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인다).

https://live.staticflickr.com/65535/2923808299_6d3ca88ab9_b.jpg

검명이 두 자루에 나뉘어서 새겨져 있다. 칼등에는 홈이 파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개인 촬영. flickr@gorekun)

검명 외에도 비천성 무늬와 칼을 제작한 장인의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여기 적혀 있는 "갑오 4월 일초 태귀련(太貴連) 이무생 작(李茂生 作)"이라는 문구로 보아 당시 대표적인 도검 명장으로 이름난 태귀련(太貴連)과 이무생(李茂生)이 선조27년(1594) 4월에 진중에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live.staticflickr.com/65535/2923808293_c5b3b72354_b.jpg

칼 끝에 새겨진 무늬는 덩굴풀 무늬(당초문)이다. (출처: 개인 촬영. flickr@gorekun)

칼에는 칼집에 일본도처럼 허리에 차기 위한 장치가 전혀 없습니다. 칼집에 붙어 있는 줄은 어깨에 메는 정도로 보입니다.

https://live.staticflickr.com/65535/2923808303_3b127f9c41_b.jpg

재미있는 것은 손잡이. 전통적인 조선 도검식 손잡이가 아니라 남색 가죽을 x자 모양으로 꼬아서 손잡이를 만들었다. (출처: 개인 촬영. flickr@gorekun)

이것은 지금도 그렇지만, 대표적인 일본도의 손잡이 양식입니다. 이렇게 일본도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진 거대한 양손칼을 조선식쌍수도라고 합니다.

조선식 쌍수도

실제 중국식 쌍수도

조선식 쌍수도(雙手刀)는 무예도보통지에 의해서 "장검. 용검. 평검이라고도 불리며, 칼날의 길이 5척, (동호인 1척), 자루 1척 5촌. 7척짜리도 볼 수 있다." 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검은 7척 가량 하니까 칼날의 길이는 5척이고 자루는 약 2척 정도입니다. 그러니까 이순신 장군검은 무예도보통지에 비해서 손잡이가 약간 큰 셈이죠.

본래 쌍수도는 일본 전국시대의 "노타치(野太刀)"라는, 거대한 양손 일본도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왜구들이 거대한 양손칼을 들고 설치자 명나라 장수들이나 조선의 군인들이 일본도를 흉내내어 큰 칼을 만들고, 또 수입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받아 탄생한 것이죠. 이순신 장군검을 왜검으로 분류하는 경우는 넓은 의미의 왜검(일본도 스타일의 대한 양손 곡도)을 의미할 때의 말입니다.

그 중에서 조선의 쌍수도는 국방부 국방군사연구소가 발행한 ‘한국무기 발달사’에서는 이순신 장검처럼 긴 손잡이가 조선식 쌍수도의 특징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위에 올려놓은 중국식 쌍수도하고 생긴 건 비슷하지만 손잡이 비율이 다른 것은 그 때문입니다. (보통 칼날 아래 손잡이 위에 30cm 정도의 동호인이 붙는데, 동호인은 옵션이기 때문에 이순신 장군검에서는 아주 작습니다.)

현대 일본의 타치. 이순신 장군도보다 칼날에 좀 더 굴곡이 있다.

그런데 저번에 전쟁기념관에서 했던 한국의 전통무기 전시회에서 판매되었던 도록이나 전시회 내용에도 쌍수도는 없습니다. 심지어 무예도보통지에도 조선식 쌍수도를 따로 그림 그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아주 많이 쓰인 듯하지는 않습니다.

* 다음 카페 This is total war에서 이순신 장군검에 대한 논의 중 하나로 투고
* 2006년 9월 4일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