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시대의 여명

원삼국 시대의 창들.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가야사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3세기 후반이 가야 역사의 진정한 시작이라는 데 대개 동의하고 있습니다. 가야의 역사를 변한의 역사와 굳이 분리하는 이유는, 이 시기를 기점으로 국가의 성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국가발생이론에서 국가의 탄생을 설명하는 데 빠지지 않는 것이 두 가지 있습니다: 바로 생산력의 발전과 보다 고도화된 폭력의 등장입니다. 생산력의 발전은 정치 집단의 등장을 부르고, 생산 수단1을 놓은 이들 사이의 투쟁과 통합은 계급 사회를 출현시키면서 국가 시스템을 형성합니다.

1990년 발굴이 시작된 김해 대성동고분군은 폭력의 고도화와 계급 분화를 잘 설명해주는 유적입니다. 전기 가야연맹을 주도했던 금관가야(가락국) 지배계급의 공동묘역인 이곳은 3세기 말을 기점으로 해서 큰 변화를 보여 줍니다. 우선 주인이 죽었을 때 노비나 가신을 죽여서 함께 묻는 순장 풍습2이 등장합니다. 사람 말고 소나 말 등을 희생시켜서 묻거나 칼을 꺾어 묻기도 합니다. 묘의 형식도 조금 바뀔 뿐더러 기존에 있던 지배층 무덤을 파괴하고 만드는 경우도 보입니다.

철제 투겁창. 기원후 4세기. 경주 구정동 출토. 국립 경주박물관 소장.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에는 별로 보이지 않던 폭력적인 성향의 유물들 - 무기, 갑옷 등 - 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기존의 지배 체제조차 부정할 수 있을 정도로 막강한 전투력을 보유한 정치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반증입니다. 이 시기를 전후해서 경주지역의 사로국(→신라) 또한 금관가야와 다른 형식의 무덤을 축조하기 시작합니다. 김해 지역과의 정치적 분리를 암시하는 대목3입니다.

전쟁 기술의 발달

언제나 새로운 지배 체제의 등장과 동반하는 것은 전쟁 시스템의 발달입니다. 신라와 가야의 경우 두 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는데, 하나는 기마 풍습의 등장이고, 또 하나는 전쟁 무기의 발달과 확산입니다.

3세기 말을 전후해서 금관가야(지금의 김해지역)에서는 말고삐, 재갈, 찰갑4과 같은 유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보병에 비해 막강한 전투력을 보유한 기병이 전장에 등장5한 것입니다. 이들이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선비족이나 부여족, 흉노족과 같은 북방 기마족이 남하해 와서 토착민들을 정복하고 금관가야를 건국했을 수도 있고6, 그저 문화만 수입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대가야의 중장기병을 묘사한 토기. 국보 275호. 국립 경주박물관 소장.

그 다음으로 보이는 특징은 무기와 갑옷의 발달과 확산입니다. 고대 한국의 대표적인 도검 형식인 환두대도는 이미 삼한 시대에도 있었지만, 이 시기를 지나면서 크기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장식과 같은 세부 요소들 또한 눈에 띄게 화려해지고 세밀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공격구가 발달하면 방어구 또한 발달하는 법, 고분에서도 이전에는 잘 보이지 않던 철제 갑옷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것도 최고 수장층의 무덤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라, 보다 작은 무덤에서도 나옵니다. 전문적인 전사 집단이 출현하여 이들에게도 철제 갑옷이 지급된 것입니다. 이 갑옷(갑甲)들은 위아래로(종縱) 긴(장長) 철판(판板)을 가죽끈으로 엮어 만들며, 종장판갑(縱長板甲)이라고 부릅니다.

종장판갑(3~4세기). 경북 경주 구정동 출토.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1. 농경 사회인 만큼 보통 농토. 이따금 광산이나 항구. 

  2. 신라의 경우, 가야의 영향을 받아 4세기 중엽 이후부터 순장 풍습이 등장한다. 

  3. 금관가야 지역에서 일어난 급격한 정세 변화가 진한사회에 영향을 미쳐 사로국을 중심으로 한 소국들이 뭉치게 했을 수도 있다. 실제로 삼국사기는 초기 신라가 금관가야에 비해 세력이 뒤떨어졌음을 암시하는 이야기들을 전하며, 갑옷 또한 경주지역보다 김해 지역에서 훨씬 많이 보인다. 금관가야의 양대 본거지에 위치한 국립 김해박물관과 부산 복천동 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갑옷 유물을 보유한 박물관이다. 

  4. 작은 가죽판이나 철판을 끈으로 엮어서 만든 갑옷. 무겁지만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말을 타는 기병이 입기 적합하다. 

  5. 김해 대성동 제 1호 고분의 경우, 가야에서 가장 오래된 말투구 등의 각종 말갖춤이 발견되었다. 

  6. 이것을 부여족 남하설이라고 하는데, 그 근거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북방 기마족이 사용하던 청동솥 유물이 김해에서 발견된다. 2. 순장 등 장례 풍습 등에 있어서 북방 기마족과 많은 공통점이 보인다. 3. 말고삐, 등자 등의 유물에서 북방 기마족의 영향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