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박물관의 다양한 장도들
2006년 8월 25일 오전 11시
전라남도 광양
장도(粧刀)의 시작은 언제 부터일까? 청동기 시대 도검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그 크기가 작달막했기 때문에 단순히 짧은 칼로 치자면 칼의 시작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할성싶다. 경주 금령총에서 발견된 순금으로 된 남성용 짧은 칼에서 짧은 칼이 장식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삼국 시대에 이르리라는 추측을 해볼 수 있다. <고려사>에도 작은 칼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장도로 생각된다.
하지만 장도라는 말이 등장하게 된 것은 조선시대 초기로 여겨진다. 성종 16년에 간행된 경국대전에서는 "도자공장刀子工匠은 장도 곧 손칼을 만드는 사람이며 환도장環刀匠은 군도軍刀를 만드는 사람이다." 라 하여 민간인들의 장도와 군인들의 환도를 구분하고 있다. 이는 장도에 대한 최초의 언급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언제부터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장도를 차고 다녔는지는 모르지만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장도를 차는 풍습이 아주 일반화되어 있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성격 자체가 일본도처럼 살벌한 연장(?)이라기보다 장신구이다보니 장도집과 자루 등이 호사스럽게 장식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추세일 것이다. 따라서 장도에는 금·은·상아·수정·뿔·소뼈·대나무 등 다양한 재료가 쓰이게 되었으며 사용된 재료와 형태, 문양에 따라 이름이 붙게 되었다. 물론 신분 사회이다 보니 옥이나 금은과 같은 귀한 장도는 양반 사대부들에게나 허용되었으며, 평민들이 가질 수 있었던 것은 나무나 대나무로 만든 장도들이었다.
언뜻 보면 그저 약간씩 모양이 다른 것으로만 보일지 모르나, 장도에 쓰이는 재료나 새겨진 문양 하나하나에 의미가 있다.
* 위 내용은 박종군 선생의 설명 및 장도박물관 전시 자료 등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며, 아래 장도들은 모두 박용기 옹의 작품들이다.
나전칠기 장도
옥장도
오동입사 장도
칠보장도
죽장도
죽장도와 목장도는 비싼 재료를 사용할 수 없던 평민들의 장도에 사용되었다. 잘 알려진 대로 사군자의 하나인 대나무는 절개를 상징한다. 칼자루에 인두로 문양을 새긴 것을 특별히 낙죽장도라고 한다.
목장도
평민들이 사용하던 장식없는 형태의 장도를 맞배기 형태라고 한다. 오동나무, 박달나무, 대추나무 등이 사용되는데 특히 벼락맞은 대추나무는 수분이 쪽 빠져 아주 훌륭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 대추나무는 귀신을 쫓는다고 하며, 장도에 쓰인 재료나 새겨진 문양에는 이렇게 각각의 의미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우현히 들러서 잘 보고 갑니다. 우리 나라에 이렇게 아름다운 칼들이 있었는지는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D
중요무형문화재제60호 곡성 낙죽장도장 조교 한상봉입니다
대단히 감사 드립니다
낙죽장도가 제일 마음에 드신다니 매우 감사드립니다
이 한마디에 힘을 많이 얻었습니다
낙죽장도는 뭐라고 딱히 설명 드릴게 없네요. 그냥 우리역사에 남아있는 유물 그대로겠지요
특히한 점은 낙죽장도는 세계 어느장도에도 없는 책 한권이 실려있고 우리 선조들의 낭만(古詩)과 선비의 혼이 실려있는 함부로 할수없는 기운이있습니다
또한 낙죽장도는 글을 인두로 쓴다고 문화재로 인정해 주셨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