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는 조선 시대의 도검 패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으니 이번에는 삼국 시대로 올라가 보겠습니다. 삼국 시대에는 칼을 어떻게 찼을까요?

힌트는 바로 칼집에 있습니다. 삼국 시대의 칼은 칼집과 함께 출토되는데, 대부분은 녹이 심하게 슬어 손잡이만 제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지만 가끔 운좋은 생존자들이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방식입니다.

환두대도. 황남대총 출토. 국립 경주박물관 소장.

사진을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칼집입1의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어 있습니다. 줄이나 천을 끼우는 자리입니다. 이렇게 칼집에 끈이나 천을 연결해서 허리에 차는 것이 기본적인 삼국 시대 도검의 패용 방식입니다.

이것보다 좀 더 후대에 발견되는 것으로, 약간 더 발전된 형태가 있습니다. 칼집입을 개조하는 방식이 아니라, 아예 칼을 차기 위한 장치를 칼집에 부착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차는 방법은 같습니다. 아래의 유물이 대표적인 예입니다만, 칼집입을 개조하는 방식만큼 흔하지는 않습니다.

환두대도. 전라남도 나주 복암리 3호분 출토.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위 검은 7세기에 만들어진 백제의 검입니다. 시기로 보아 사실상 백제 최후의 검인데요, 칼집에 고리가 달려 있어서 칼을 찰 수 있는 장치를 해 두었습니다. 금동과 은으로 만들어진 검이니만큼 이 검의 주인은 상당히 높은 신분의 인물이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끈 하나를 묶어 허리에 연결하는 것이 기본적인 패용 방법이지만, 두 개의 끈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고구려 사신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한 사마르칸트의 아프시압 궁전 벽화입니다. 사진이 좀 작긴 합니다만, 오른쪽 두 고구려 사신이 차고 있는 칼에 두 개의 고리가 달려 있는 것 정도는 보이실 겁니다.

이러한 형식의 검은 벽화뿐만 아니라 실제 유물로도 확인됩니다. 아래는 기린 그림으로 유명한 천마총에서 출토된 신라의 검인데, 끈을 끼우는 고리가 두 개 장착되어 있습니다. 신라의 황남대총에서도 비슷한 검이 출토된 적이 있습니다.

봉황장식 환두대도. 5~6세기경. 천마총. 보물 621호. 경주 국립박물관 소장.

칼집 가운데 부분 확대.

이 검의 사용자 역시 백제검의 주인 만만치 않게 높은 신분의 사람이었을 것 같습니다. 이전에 4세기 고구려군의 무장에 대한 글에서 인용한 민족 기록화에 그려진 도검 패용 방식은 이 방식을 따른 것입니다.

부분 확대. 두 명의 중장기병이 패용한 검에 주목.

정리하자면 삼국 시대의 도검 패용 방법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1. 끈 하나를 칼집입에 꿰어 허리띠에 연결해 찬다.
  2. 끈 하나를 칼집 고리에 꿰어 허리띠에 연결해 찬다.
  3. 끈 둘을 칼집 고리에 꿰어 허리띠에 연결해 찬다.
  4. 좋은 칼을 찰 형편이 안되는 졸병들은 (아마도) 그런 것 없다 ㄳ

  1. 칼집의 맨 윗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