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의 출처는 https://blog.gorekun.com/1305 입니다. 출처를 지우지 않은 상태에서 비상업적으로 배포가 가능합니다.
히파스피타이의 종말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페르시아 고원을 가로지르며 불패의 전설을 남긴 히파스피타이인 만큼, 그 종말 또한 알렉산드로스의 죽음과 함께 왔다.
기원전 323년 6월 11일, 알렉산드로스는 33세 생일을 한 달 남긴 채로 급사했다. 사인에 대해서는 여러 설들이 분분하지만, 연이은 잔치 때문에 술에 절어 있다가 말라리아가 재발해서 한 방에 갔다는 것이 정설이다.1
적어도 확실한 것은, 알렉산드로스 사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위를 둘러싸고 난장판이 벌어졌다는 점이다. 왕위를 이어받을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알렉산드로스에게 왕위를 이어받을 동생이나 장성한 아들이 있었으면 또 모른다. 하지만 외동아들인데다가 겨우 서른 둘에 죽은 알렉산드로스에게 장성한 아들 따위가 있었을 리 없었으며 - 아내 록산느가 겨우 임신한 상태였다.
마케도니아의 왕좌를 둘러싼 이 걸판진 싸움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수십 페이지는 필요하므로, 히파스피타이에 대한 부분만 간략하게 보도록 하자. 알렉산드로스의 부하 장수들 중에 가장 야심이 컸던 자는 안티고누스Antigonus였다. 안티고누스는 소아시아(지금의 터키)를 기반으로 스스로의 세력을 급속히 확장시켰는데, 필리포스 2세의 서자인 아리다리우스는 이를 견제하기 위해 알렉산드로스의 비서이자 장군이었던 에우메네스Eumenes에게 히파스피타이의 지휘권과 왕실의 자금을 넘기고 안티고누스를 막으라는 명을 내렸다. 히파스피타이는 고국인 마케도니아로 돌아가지 않고 아직 아시아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아키 히토시의 만화, . 이 만화의 주인공이 바로 그 에우메네스이다.
"애꾸눈 안티고누스" - 1권에서부터 등장한다.
에우메네스는 자신을 뒤쫓아 온 안티고누스의 강력한 군세와 맞서 싸워 크게 이겼지만, 안티고누스의 기병대가 선전한 덕분에 안티고누스는 에우메네스의 보급 부대를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BC 318). 여기에는 히파스피타이들이 알렉산드로스 때부터 모아 온 각종 전리품들과 가족들이 있었다. 그러니까 히파스피타이들 입장에서는, 전투에서는 이겼지만 전재산을 다 날린 셈이었다.
히파스피타이의 대장 테우타무스는 안티고누스에게 사람을 보내 자기네들의 재산과 가족들을 돌려 달라고 했다. 안티고누스는 "에우메네스를 묶어서 넘겨 주면 그렇게 하겠다." 라고 대답했고, 안 그래도 에우메네스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던2 테우타무스와 히파스피타이들은 에우메네스가 방심하고 있을 때 이를 묶어 안티고누스에게 넘겨 주었다. 히파스피타이 입장에서는 알렉산드로스를 따라다니면서 번 돈을 가지고 고향 마케도니아로 돌아가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일이었지, 에우메네스 따위가 어떻게 되든지 말든지는 관심 밖이었다.
안티고누스가 잠깐의 고민 끝에 에우메네스를 죽여버린 것은 물론이지만 - 자신들의 대장을 팔아넘긴 히파스피타이들 역시 무사히 넘어가지 못했다. 안티고누스는 히파스피타이들을 흉칙한 자들이라 하여 전부 죽여버리라는 명을 내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뒤 히파스피타이들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로마의 역사가 플루타르코스는 이들 중 살아서 마케도니아 땅을 밟은 사람은 없었다는 기록을 전하는데, 실제로 그러한 듯하다.
이후 알렉산드로스의 제국은 셀레우코스 왕국, 마케도니아 왕국, 이집트 왕국으로 그 세력이 정리되었고, 이들 왕국에서도 히파스피타이와 같이 "은방패" "청동 방패" 따위의 이름을 쓰는 부대가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하지만 이들은 히파스피타이들과는 아무 상관이 없었으며, 히파스피타이가 가진 불패의 전설을 이은 자들 또한 아무도 없었다.
참조문헌
- Warfare in the classical world, John War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5
(서양 고대 전쟁사 박물관, 임 웅 역, 르네상스, 2001)
: 서양 고대의 전쟁사에 대한 책. 사료를 소개하고 정치적인 배경을 서술한 뒤 전쟁사의 전개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쉽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각종 지도 및 도판이 풍부한 책. 번역의 품질도 나쁘지 않지만, 어찌된 게 도판 목록과 참고문헌 목록이 없다. 한국에 번역되어 나오는 역사책에서 자주 있는 현상이다.
- Greek Hoplite: 480-323BC, Nicholas Sekunda, osprey, 2000
- Macedonian warrior: Alexander's elite infantrymen, Waldemar Heckel & Christa Hook, osprey, 2006
: 전쟁사 전문 출판사로 유명한 osprey 출판사의 책. 한국어판은 없다. 니콜라스 세쿤다의 책 중 은 플래닛미디어에서 한국어판이 출간되어 있다.
- Warrior: a visual history of the fighting man, R.G.Grant, DK Publishing, 2007
: 편하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내용이 풍부한 화보집. 역시 한국어판이 없다. 최근 환율이 치솟기 직전 아마존에서 구입한 뒤 흡족해하는 중.
- Arms and Armor of the Greeks, Anthony M. Snodgras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8
: 고대 그리스의 전쟁사에 대한 고전적인 저작.
- Lives of the Noble Greeks and Romans, *Plutarchos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플루타르코스 저 / 천병희 역, 범우사, 2002)*
: 유명한 플루타르코스의 책. 그리스 인과 로마인의 삶을 서술한 뒤 이들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쓰여져 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의 정세를 보기 위해 참고했다. 범우사 판은 천병희 단국대학교 명예교수가 헬라어 원전의 일부를 발췌 번역한 것이며, 사실상 국내 유일한 직역판이다.
- 히스토리에, 이와사키 히토시(岩明均), 서울문화사, 2005
: 의 작가 이와사키 히토시의 만화. 알렉산드로스의 비서관인 에우메네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재미있고 개념있는 역사만화. 추천.
잘 읽었습니다. Warrior: a visual history of the fighting man은 어느 시대부터 어느 시대까지를 다룬 책인지 궁금하네요. 혹 전형적인 DK 스타일의 책처럼 비쥬얼에 중점을 둔 책인가요?
예, 말씀하신 대로 전형적인 DK 스타일의 책으로, 고대 팔랑크스에서부터 현대의 보병에 이르기까지의 군인의 무장을 다루는 책입니다. 그리 학술적인 책은 아닙니다만 사진 자료가 풍부해서 필요한 거 찾아다 편하게 보기엔 최곱니다. 남북전쟁 당시 병사들이 썼다던 씹는 담배까지 나와 있는 걸 보고 할 말을 잊었습니다.
히파스피타이의 최후가 너무나 허망하군요. 구심점을 잃은 병사들이 살아남겠다고 자기 사령관인 에우메네스를 안티고누스에게 넘긴 그 때부터 몰락하고 있었군요. 뭐, 자기 가족들을 인질로 잡고 있었다고는 하지만, 명색이 알랙산더의 최고의 부대라는 군대가 악에 받친 저항 한 번 안해보고 너무 쉽게 무너진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렇죠. 자기 목숨값을 못하고 죽었다고 할 수 밖에요. 사실 저도 저 사실은 최근 자료를 뒤지다가 알았습니다.
재미있어요. 이때 이야기들은 정말 이야기들이 많아서 더 좋은 것 같기도 합니다. 헌데… 도대체 히스토리에 5권은 언제쯤 나올른지…
저도 빨리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저만한 개념 만화도 보기 힘든데 말이죠.
저만 그런가요? 두번째 이미지, 수상한 사람으로밖에 안보입니다.
불패의 무적 전사들 치고는, 끝이 한심하달까, 아니면 허망하달까…
만화에서도 “척 봐도 수상하구만!!” 이라더군요 ㅎㅎㅎ
리얼리즘 모드로 할작시면, (저는 주로 파르티아입니다만) 창 히파스피스타이가 두세부대쯤 있을라 치면 궁기병 중심인 파르티아는 참 처리하기가 곤란합죠. 아머가 높아서 화살로는 안 되고, 거기다가 무장이 창이라 근접으로도 안 되고. 천상 기병 뭉치기로 잡아야 되는데 그렇다고 모럴이 낮기라도 하냐면 그거도 참 ㅋㅋㅋㅋ
1편부터 4편까지 좋은 글 잘 봤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D
텍스트큐브에서 작성된 비밀 댓글입니다.
어헛, 감사합니다. 알려주셨으니 자주 찾아가도록 하겠습니다 :D
저 그런데… RSS 피드는 공개 안하시는가 봐요? ;ㅁ;
텍스트큐브에서 작성된 비밀 댓글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hanrss.com/help/guide.qst
http://ko.wikipedia.org/wiki/RSS
제 블로그 RSS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blog.gorekun.com/rss
히스토리에, 1~4권만 몇 번이나 읽고 있는 건지.. 미치겠습니다 ㅠ_ㅠ
하하, 저도 그 만화를 몇 번이나 읽었더라지요. 보통 만화는 초반을 좀 빌려 본 다음 구입을 생각하게 되는데, 이 만화 역시 구입을 생각중입니다. 함께 나온 단편집 <유레카> 도 아주 물건이더구만요.
재미도 있습니다만, 역사적 사실과 픽션을 재치 있게 버무리는 솜씨가 일품입니다. 이만한 역사만화는 한동안 보지 못할 것 같습니다. 잘 살펴보니 나중에 역사 관련 글 쓸 때 자료로 인용하기에도 좋더군요.
그런데 히스토리에에서 아직 안티고노스는 등장 안했고 위의 인물은 필리포스 2세가 변장한 것 아니었던가요? (아님 내가 착각하는 건가..)
2008년에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