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8221603334100

독서는 정독하되, 자기나름의 판단을 하는 사색이 꼭 필요하다. 그럴 때만이 저자의 생각을 넓고 깊게 수용할 수 있다.

- 김대중, [[재인용출처](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191801595)]

내가 태어났을 때 이미 DJ는 거물 중의 거물이었는지라,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어도 왜 그런지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저 존칭이라고 알았을 뿐이다. 그 칭호에 납득하게 된 건 나이가 좀 더 들고 다른 이의 글을 읽고서였다.> 내가 본 DJ는 끊임없이 성장하는 사람이었다.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하며 공부하는 사람, 그래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는 사람이었다. DJ에게는 모든 문제들을 항상 미리 앞서서 깊이 생각해 두는 좋은 습관이 있었다. 정말로 삶을 열심히 사는 사람을 손꼽으라면 나는 DJ를 주저하지 않고 추천할 것이다. ... 내가 대변인을 하고 있을 당시, 성명이나 논평을 내야 하는데 상황이 애매하여 어떻게 해야 할 지 고심이 될 때에는 DJ를 찾아가면 해결이 되었다. DJ가 즉석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받아 적기만 하면 그대로 정리된 성명서가 될 정도였다.이렇게 강점을 갖고 있긴 하지만 DJ에게도 약점이 없는 건 아니다. 가장 큰 허점은 허점이 너무 없다는 것이다. 이건 말장난이 아니다. 논리적으로 너무 완벽하고 또 그 완벽성에 대해 너무 자부심과 확신이 강해 다른 사람들에게 끼여들 여지를 주지 않는다. 게다가 논쟁을 하면 항상 이겨 버리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을 꺼내기를 어려워한다. 그러니 남의 머리를 빌리기가 어렵지 않을까 싶다.

- 노무현, , 새터, 1994, pp.95 ~ pp.96

최근 DJ의 옥중서신 등이 재출간되어서 읽어 볼 기회가 있었는데, 글 서두에 나온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구절을 찾지는 못했1다. 다만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독서에 대한 태도는 경향신문 칼럼이든 노무현 당시 민주당 대변인의 말이든 김대중 평전의 저자든 딱 일치한다. 실제로 옥중서신에서 인상적인 부분을 몇 꼽아 보라면 하루 체조 세 번 하고 책 읽다 보면 하루가 금방 간다는 것과 가족들과 주고받는 편지에 책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는 것, 당시 중학생이었던 3남 김홍걸 씨에게 이런저런 책을 읽으라고 하고 후기를 보내도록 한 것 등2이다. 해방 이후 책과 독서에 대해 이만한 경지를 이룬 사람을 찾기는 힘들지 않을까. 실로 책에 대한 예의를 알던 사람, 진정한 교양인이라는 말이 아깝지가 않다.

최근 故노무현 前대통령의 회고록이 출간되었다. 다음 달 책 주문하면서 함께 주문할 예정인데, 보도에 의하면 김대중은 국보급 대접을 받을 만한 지도자라는 내용이 있다고 한다. 그 판단의 근거가 궁금해서라도 서둘러 읽게 될 듯하다.

ps) 여담이지만, 노무현은 자신을 정치에 입문시킨 YS에 대해서는 "훌륭한 두목" 정도로 보고 있는 것 같다. 더도말고 덜도말고.


  1. 솔직히 DJ는 워낙에 쓴 책이 많으니 겨우 한 권 읽어서는 찾기 힘들다. 

  2. 실제로 옥살이를 하는 와중에도 껌종이 뒤에 이런저런 책을 보내 달라고 끊임없이 주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