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노가 종영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저는 거의 드라마를 보지 않습니다만, 워낙에 화제가 되다 보니 조금씩 동냥으로나마 듣고 보는 건 어쩔 수 없더군요.

이 드라마에서는 언월도(偃月刀, 줄여서 월도月刀)가 꽤나 중요한 소품으로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악역 철웅(이종혁 분)이 월도 시범을 보이는 장면도 보이고, 주연인 송태하(오지호 분)는 아예 월도를 들고 다니더군요. 드라마의 배경이 인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이건 정말 감탄할 정도로 센스있는 고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그 때는 월도의 전성시대였거든요.

기원: 대기병 병기

월도처럼 긴 손잡이 끝에 칼날을 장착한 병장기를 대도(大刀)라고 합니다. 그 기원이 중국 전국시대(BC 403 ~ BC 221)의 피(鈹)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니까, 굉장히 오래된 무기인 셈입니다. 당나라(618 ~ 907) 때 지금의 형태가 갖춰진 대도는 송나라 시대(960 ~ 1279)에 그 전성기를 맞게 됩니다. 월도는 대도류 병장기의 대표적인 무기[^1]라고 할 수 있는데, 역시 당나라 시대에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이름이 붙은 이유는 칼날의 모양이 반달 모양이었기 때문입니다.

너무나도 유명한 관우의 청룡언월도. 그러나 언월도는 삼국 시대에는 있지도 않았다. 삼국지연의가 쓰여지던 명나라 초기에도 실전용이라기보다 무예 솜씨를 보이는 데 더 많이 사용되었다.

송나라 시대의 월도는 대부(大斧)와 함께 중무장 보병들의 주요 무기 중 하나였습니다. 중장기병의 돌격을 막아내는 데 유용했거든요. 당시 송나라의 주적은 요나라와 금나라였는데, 이들은 모두 말까지 감싸는 갑옷을 장비한 중장기병을 핵심 전력으로 삼고 있었습니다. 송나라도 중장기병을 육성하고 싶었지만 말이 모자랐기 때문에, 월도와 대부로 무장한 보병으로 중장기병을 격파하는 방식을 발달시키게 된 것이죠.

하지만 원나라(1271 ~ 1368) - 명나라(1368 ~ 1644)를 거치면서, 월도는 점점 그 인기를 잃게 됩니다. 화약 병기의 발달은 중장기병을 과거의 유물로 만들었고, 자연히 크고 무거운 월도 역시 쓸모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명나라 시기가 되면 월도는 실전용 병기라기보다 의장용이나 무예 시범용으로 더 많이 사용되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도 상황이 그리 다르지 않아서, 적어도 고려 중기 이후의 월도는 대개 의장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2]됩니다.

월도는 이렇게 잊혀져 갈 뻔... 했습니다. 하지만 극적으로 새로운 용도를 얻어 부활하게 되는데, 그 원인은 바로 임진왜란입니다.

평양성 전투

https://live.staticflickr.com/65535/3010716565_cf40e5438c_b.jpg

조선시대의 청룡언월도. 길이 99.8cm, 무게 680.0g. 칼날을 잘 보면 이빨이 빠져 있지만, 굉장히 크고 무겁기 때문에 실전용인지는 불분명하다. 칼의 고동에 용의 입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니, 말 그대로 "청룡언월도" 다. 고려대학교 소장. (출처: 개인 촬영. flickr@gorekun)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습니다. 전쟁이 시작되자 조선군은 사정없이 털리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 사태의 주요 한 원인 중 하나는 일본군의 전투 시스템이 일방적으로 발달해 있었다는 겁니다. 전국 시대의 난장판을 겪은 일본군은 조총과 일본도(왜검倭劍)를 보유하고 있었고, 이 무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도 갖추고 있었습니다. 반면 조선군은 지나치게 궁시에 의존하여 육박전 능력이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일본군은 매우 계획적으로 진격하면서 총포에 더하여 일본도의 위력으로써 맹렬하게 공격하였기 때문에, (탄금대의)조선군은 싸움터를 버리고서 도망쳤다.

- 루이스 프로이스,

사정없이 밟히던 조선 육군을 구한 것은 명나라에서 보내 온 구원군이었습니다. 1593년 1월, 이여송(李如松)이 이끄는 명군은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이끄는 일본군을 묵사발로 만들어버리고 평양성을 탈환하는 데 성공합니다. 그런데, 이 전투에서 크게 활약한 것이 명군 기병들이 사용한 언월도였습니다. 일본도의 공격력은 당대에도 잘 알려진 바였습니다만, 커다란 언월도 칼날의 공격력 또한 막강한데다 사정거리는 일본도보다 훨씬 길거든요. 실제로 국립 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에는 월도를 들고 돌격하는 명나라 기병이 묘사되어 있고, 에서도 "왜인이 칼을 사용하는 신묘함도 언월도의 재빠른 솜씨 아래에서는 달아날 곳이 없으니, 칼 가운데 제일이라 하는 것이 빈말이 아니다." 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극중 송태하가 쓰는 월도는 자루를 짧게 잘라낸 형태다. 이 경우 사정 거리가 줄어드는 단점은 있지만, 좀 더 핸디하게 휘두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당시의 조선 정부 또한 월도의 막강한 전투력에 깊은 인상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 정부는 평양성 전투에서 보여 준 명나라의 각종 군사기술들 - 화약병기, 보병전술 등 - 을 배우는 데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3], 월도에 보여진 높은 관심은 별로 이상한 것이 아닙니다. 임진왜란중에 기록된 선조실록에서도 병사들의 훈련에 대한 논의에서 언월도를 사용하는 명나라 장교에 대한 언급이 보이고[^4], 조선의 병법학자였던 한교(韓嶠)가 1612년 집필한 에서도 언월도를 기병이 돌격할 때 사용하는 무기라고 언급[^5]하고 있습니다.

무예도보통지

월도에 대한 관심은 임진왜란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정조실록[^6]은 북벌을 추진했던 효종이 무예에 관심이 많아 한가한 날이면 말을 타고 청룡언월도와 철퇴를 수련하였다는 내용을 전합니다. 이에 따르면 무예를 좋아했던 사도세자 또한 월도를 잘 다루었는데, 어지간한 장사들도 다루기 힘들었던 효종의 청룡언월도와 철퇴를 15, 6세에 이미 능숙하게 다루고 있었다고 합니다. 언월도가 웬만한 사람은 다룰 수도 없을 정도로 무거운 무기였다는 점을 감안[^7]하면, 이건 정말 굉장한 수준입니다.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월도 그림. 왼쪽이 한국식, 오른쪽이 중국식이다. 언월도에서 수술 장식을 다는 구멍을 환혈(環穴)이라고 한다.

월도에 대해서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책은 정조 14년(1790)에 편찬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입니다. 조선 무예서적의 종합 완성판으로 불리는 이 책은 모두 4권으로, 그중 3번째 권에서 월도의 제원과 보병과 기병이 월도를 쓰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월도는 현대 길이로 대략 190cm 가량의 길이를 가지며, 그 중 칼날의 길이는 약 58cm가 됩니다. 하지만 현존하는 유물에서는 전체 길이가 2m를 넘어가는 게 더 많습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청룡언월도의 경우 그 길이가 230cm나 됩니다. 그만큼 월도가 큰 무기였다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이삼장군(1677 ~ 1735)이 쓰던 언월도. 전체 길이는 191cm, 무게는 1.9kg이나 된다. 손잡이에 삼으로 꼰 줄을 감고 옻칠로 마감하여 칼을 잡기 쉽게 하였다. 시도유형문화재 63호.

실제로 언월도를 보고 싶으신 분이 계시다면, 궁중유물전시관을 추천합니다. 현존하는 월도의 상당수가 여기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의 경우 현재 월도를 전시하고 있지 않고, 육군박물관은 일반인이 가기엔 좀 불편합니다. 최근에는 가보질 못했습니다만 그래도 전시는 하고 있지 싶네요.

### 참고문헌

, 전쟁기념관, 2004

- 전쟁기념관 개관 10주년 기념전시회 도록.

경인미술관, , 국립 민속 박물관, 2003

- 2003년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에 수록된 무기들을 중심으로, 당대 무기의 크기가 현대 도량형으로 환산할 경우 어느 정도가 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 경인미술관 &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9

- 2009년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도검 특별 전시전의 도록.

한명기, , 역사비평사, 1999

- 조선과 중국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임진왜란 역사서.

육군박물관, , 2004

Louis Frois,

(국립 진주박물관, , 부키, 2003)

- 예수교 선교사였던 포르투갈인 루이스 프로이스가 쓴 일본 천주교 포교사. 임진왜란을 포함한 전국 시대 말기를 다루고 있다. 국내에는 임진왜란 관련 부분만 따로 엮어져 나와 있다. 임진왜란을 다룬 당대의 중요한 기록 중 하나로 평가된다.

요코야마 미쓰테루, 제 28권, 대현출판사, 1996

- 너무나도 유명한 만화 삼국지. 본문에서 청룡언월도를 든 관우의 모습은 154쪽에서 인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