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첫 걸음은,

모순조차 삶의 일부임을 인정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1.

최강이란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최강에 이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1를 읽다보면 떠오르는 질문들이다. 언뜻 뜬금 없어 보이지만, 이 질문이 의미있는 데는 이유가 있다. 우선 주인공 무사시가 소설 내내 추구하는 문제라는 점이고, 또 하나는 이 문제들이 결코 별개가 아니라는 점이다. 무사시의 여정 전체가 이 질문들을 깔고 진행되기 때문에, 이걸 빼놓고 무사시를 이야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2.

최강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여기엔 두 개의 답안이 있다. 1번은 자신의 밖에서 답을 찾는 방식이다. 죽음을 각오하고 다른 강자들을 하나씩 베어 나가는 것이다. 목숨을 건 싸움에서 살아남아 상대를 베면, 그 와중에 실력도 늘고 강함도 증명된다.

무사시보다 한 세대 앞의 검객인 이토 이토사이는 1번 방식의 대표 주자다. 주인공 무사시 역시 이야기 초반부터 이 방식을 충실히 따른다.

반면, 2번은 접근 자체부터가 완전히 다르다. 이 방식은 칼을 휘두르는 자기 자신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에 따르면, 사람이 칼을 휘두르는 것과 새가 나는 것은 그리 다른 행위가 아니다. 새의 몸 자체가 본능적으로 잘 나는 방법을 알고 있듯, 인간의 몸과 칼을 가장 잘 쓰는 방법을 알고 있다. 따라서, 이것을 이끌어내는 것이 최강을 향한 길이다.

또다른 주인공, 사사키 코지로는 2번 방식이다. 날 때부터 귀머거리라, 자기 자신과 대화를 할 시간이란 흘러넘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들은 '최강이란 무엇이냐'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1번 방식을 따르는 사람에게, 최강이란 미칠 듯이 추구해야 하는 대상이다. 하지만 2번을 따르는 사람이라면? 최강 따위의 칭호에 집착을 가지는 건, 자기 자신을 보는 데 방해만 된다. 그러니까, 최강 따위란 그에게 한갖 말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 이 두 답안은 이렇게 서로 완전히 모순되는 관계다.

3.

무사시의 이야기에서 진정한 최강의 자리에 오른 사람은 모두 두 사람이 나온다. 인에이 할아버지와 야규 세키슈사이 할아버지2다. 그런데 이 사람들을 보면, 모두 2번 방식이다. 1번 방식 중에서 가장 강한 사람은 이토 이토사이인데, 이토사이는 정작 세키슈사이에게 털끝 하나도 손대지 못했3다.

여담이지만 무사시+인에이 할아버지를 보다 보면, 강백호+안선생님이 따로 없다(...).

그러면 2번이 맞고 1번은 틀린 것일까? 재미있는 건 여기서부터인데, 1 없는 2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요시오카 도장의 당주 요시오카 세이쥬로는 날 때부터 천재라, 어려서부터 자신의 몸을 활용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안다. 2번인 것이다. 하지만 그는 (무지막지하게 강하긴 했지만) 1번 방식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밤낮없이 술만 푼다. 결국 그는 1번을 따르며 사선을 밥 먹듯 넘나들던 무사시에게 베여 죽는다.

그런가 하면, 1의 종착점은 2이기도 하다. 1번을 따르던 무사시는 이전에도 여러 번 이겼지만, 상당히 힘들게 이겼었다. 하지만 그렇게 레벨업을 거쳐 일정 경지에 들어서자,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칼을 휘두르는 2번 스타일로 변했다. 그 다음은? 이전의 상대들보다 훨씬 강한 세이쥬로를 베고, 그 동생 덴시치로도 베고, 결국 한꺼번에 몰려든 요시오카의 70 검객들마저 몽땅 베어버린다. 이렇게, 1과 2는 서로 완전히 모순되면서도 서로를 의지하는 관계다.

인에이는 최강의 자리에 오른 만큼, 두 방식이 서로 의지하는 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자기 제자인 인슌에게 죽도록 두들겨 맞은 무사시를 데려다 수련을 시키고 인슌과 다시 대결하게 한다. 인슌 역시 날 때부터 천재였던 만큼, 죽음의 공포를 느낄 정도의 싸움을 해본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무사시와의 싸움을 통해서 완전히 2번 방식이던 인슌은 1번 방식을 배우게 된다.

4.

그런데, 이런 관계가 비단 검술에만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무사시 주변에는 불도를 닦는 다쿠앙 스님과 칼 장인인 혼야미가 있다. 무사시가 검의 길을 간다면, 이 두 사람은 부처의 길, 장인의 길을 간다. 이들의 앞에 놓여진 현실 역시 모순되기는 마찬가지다.

혼아미. 이미 은퇴했지만, 미야모토 무사시와 사사키 코지로의 칼을 갈아 준다.

다쿠앙 스님이 가는 길은 중생을 계도하는 부처의 길이다. 이 길은 중생들이 현재 살아가는 방식을 부정하고, 더 나은 삶의 방식을 찾는 데서 시작한다. 하지만 이 길을 완성하려면, 그 중생들의 마음 속에 불심(佛心)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부처의 길은 이렇게 서로 모순된 두 가지 방식을 요구한다. 두 모순이 서로 의지하고 있는 것이다.

혼아미가 가는 길은 장인의 길이다. 칼을 만들고 다듬는 것이 그의 일이다. 칼은 엄연히 흉기인 만큼, 자신이 하는 일이 사람을 죽이는 걸 돕는 일이라는 걸 인식하면서 시작한다. 하지만 그의 말에 의하면, 기술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려면 칼이 살인도구라는 것을 잊어버리고 그 극한을 이끌어 내는 데만 생각이 미쳐야 한다고 한다. 장인의 길 역시 이렇게 서로 모순된 두 가지 방식을 요구한다. 여기서도 두 모순은 서로 의지하고 있다.

사실, 무사시/혼아미가 하는 일과 다쿠앙이 하는 일은 서로 정반대되는 일이다. 한 쪽은 사람을 죽이거나 그 도구를 만들지만, 다른 쪽은 중생을 깨우치기 위한 일을 한다. 하지만 이 둘은 그 안에 모순을 품고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똑같다. 정 반대되는 동시에 서로 가장 닮기도 한 것이다. 사실 이것도 모순이긴 하다.

무사시의 길을 미리 걸어간 야규 세키슈사이가 말하는 걸 보다 보면 이 사람이 검술가인지 스님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뒤집어 말하면, 그만큼 검의 길과 부처의 길에 닮은 점이 많다는 얘기다.

5.

나는 인생이 어쩌고저쩌고 할 나이는 아니다. 하지만, 논리적 정합성과 논리적 모순이 엄연히 공존하는 게 인간의 삶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놓고 보면, 어줍잖은 지식만으로 인간 세상을 이해하려 드는 건 처음부터 무리인지도 모른다. 지식이란 정합성만을 추구할 뿐, 모순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순을 우리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러한 지혜가 없는 한, 지식은 외눈박이에 불과할 터다.

사사키 코지로(왼쪽)와 미야모토 무사시(오른쪽)는 비록 같은 길을 가고 있지만, 흡사 거울의 반대쪽처럼 상반된 캐릭터다. 코지로는 2번을 먼저 터득하고 1번을 터득해 가지만, 무사시는 1번에서 시작해서 2번으로 터득해 간다.

어떻게 보면, 모순을 부정하는 '지식'과 모순을 인정하는 '지혜'를 동시에 갖출 필요가 있다는 생각 자체가 모순일 수도 있다. 하기야, 논리 기계를 공부한다는 컴퓨터 공학도가 모순 같은 걸 옹호한다는 것 자체가 가장 큰 모순인지도 모르겠다.

ps)

아무리 봐도 강백호+안선생님(...)


  1. 다케히코 이노우에 화백의 만화 『배가본드』는 이 소설의 만화판이다. 그래서 만화책 표지를 보면 요시카와 에이지 원작이라고 되어 있다. 다만 만화는 재창작을 많이 해서, 사사키 코지로의 캐릭터 등이 소설과 크게 다르다. 

  2. 한 사람 더 꼽자면 두 사람의 스승인 카이이즈미 노부쓰나가 있겠다. 그런데 이 사람은 회상 장면에서 잠깐 나오고 끝이다. 

  3. 반대로 세키슈사이는 이토사이가 목에 칼을 들이대는데도 눈 하나 깜짝도 안 했다. 한 마디로, 하나도 안 무서웠다는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