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had never made a city so flush. (지방이 하나의 도시를 그토록 윤택케 한 적은 없었다.)
- 데렉 톰슨 (Derek Thompson)
1.
수염고래(Bowhead whale)를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판화. 1868년.
미국의 대문호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 딕』은 육지 생활에 염증을 느껴서… (더보기)
언젠가부터 내게 던져지는 질문들에 대한 생각들.
1.
"컴퓨터 전공해서 참 좋겠어요."
언젠가부터 이런 말을 듣는 횟수가 부쩍 늘었다. 아마도 하루가 멀다하고 화제가 되는 IT 기술 때문일 게다. IT 기업들의 행보 하나하나는 화제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다른 산업 전체를 합친 것만큼이나… (더보기)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은 비단 어린왕자 뿐만이 아니다.
1.
논증의 기초로 여겨지는 삼단 논법은 두 개의 전제와 하나의 결론으로 이루어진다: "올림피아 경기의 승리자는 월계관을 받는다. 도리에우스는 올림피아 경기의 승리자이다. 따라서 도리에우스는 월계관을 받았다." 이 세 문장은 삼단 논법의 대전제… (더보기)
단도직입적으로 말하겠다.
나는 신뢰도 자원이라고 본다.
1.
신뢰가 자원이라니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고 물을지 모른다. 하지만 '시간'이 자원으로서 널리 받아들여진다는 점을 생각해 보자. 시간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너나 할 것 없이 똑같이 소모된다는 점에서도 일반적인 유형의 자원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더보기)
강연중인 폴 그레이엄. 2008년. (출처: flickr@mathoov)
프로란 자기 일에 가차없는(Relentless) 사람을 가리킨다.1
- 폴 그레이엄(Paul Graham), 『해커와 화가(Hackers & Painters』
※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첨언하자면, 폴 그레이엄은 전설적인 컴퓨터 해커이자 성공한 벤처 기업가로서 현재는 스타트업 전문 투자펀드인 Y Combinator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