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에 쓰이는 갑옷(혹은 군복)이란 실용성 뿐만 아니라 아름다움도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된다. 통일된 복색이나 강해 보이는 디자인 - 속칭 뽀대 - 으로 아군의 사기를 높이고, 상대방을 정신적으로 압박하기 위해서이다. 뭔가 거창해 보이지만 통일된 문양으로 맹수에게 무언의 압박을 주는 얼룩말이나, 화려함을 뽐내면서 싸우는 수컷 짐승들과 비슷하다.

따라서 갑옷이란 물건은 남성미의 총집합체로 봐도 상관없다. 수천 년에 이르는 동안 전쟁 무기와 군사 제도는 셀 수도 없이 바뀌어 왔지만, 기본적으로 군복이란 남성미를 극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대략의 경향은 있었다.

1. 키는 일단 큰 것이 좋다.

자연관계에 대한 인간의 애니미즘적/토테미즘적 시각은 본질적으로 "큰 것" = "강한 것"이라는 공식을 세워놓고 있기 때문에, 키가 커 보이는 것이 더 강해보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많은 문명권들은 갑옷 착용자의 키가 커 보이게 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가장 흔한 방법은 투구에 장식물을 붙여서 덩치가 크게 보이는 것이다. 물론 개나 소나 다 하는 것도 아니고 계급이 높은 사람일수록 더 화려한 장식물을 붙이는 것이 허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에 등장한 로마 군 백인대장의 모습. 일반 병졸들보다 훨씬 크고 화려하다.

특히 뿔은 맹수를 연상시키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자주 애용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실제로 머리로 들이받는 등의 실제적인 효용은 없지만.

뿔을 깃털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근대 이후에는 키가 커 보이게 하기 위해 유명한 영국 근위대의 털모자 등이 등장했다.

2. 짙은색이나 강렬한 색이 좋다.

갑옷에서 가장 애용되는 색깔은 검은색이나 그에 가까운 아주 짙은색이다. 검은 색 제복은 군복 말고도 신부의 복장이나 영국 경찰의 제복, 나치 친위대(알게마이네 SS:Allgemeine SS)의 제복 등에서도 볼 수 있는데, 그 용도가 무엇이든 대략 권력을 상징하는 경향이 있다.

알게마이네 SS의 제복. 검은 바탕의 테두리에 붙은 은색이 우아해 보인다.

다만 신부복의 경우 재질이 차분한 느낌을 주는 반면 SS의 제복은 단정하면서도 굉장히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이러한 차이점이 두 복장 사이에 극대 극의 인상을 남긴다. 비슷한 물건으로 흑기사를 컨셉으로 한 독일군 전차병 군복이나, 일반적인 수병과는 인상이 사뭇 다른 소련 해군 육전대의 군복도 있다.

소련 해군 육전대. 소련 해군이 흑해의 해군 기지를 방어하기 위해 창설한 부대로,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대활약하면서 "검은 악마(Black Devils)"라는 타이틀도 얻었다.

강렬하고 눈에 잘 띄는 색상인 빨간색도 많이 쓰인다. 일본 사무라이들은 빨간 갑옷을 상당히 애용하여 많은 유물이 남아 있는데, 빨간 갑옷을 장비한 삼천 병력을 이끌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진지로 돌격한 사나다 유키무라는 특히 유명하다. 근대 영국군의 복장이나 프랑스 군의 바지도 빨간색이었다.(위 로마 군 장교도 빨간 벼슬을 착용하고 있다.)

단 위장이 중요해진 현대전에서는 빨간색이 지나치게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군복을 유지하고 있는 영국 근위대의 예복에서나마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을 뿐이다.

3. 얼굴은 가리는 것이 좋다.

얼굴 전면을 가리면 평범한 병졸도 꽤나 무서워 보인다. 일본에서는 아예 "면구(面具)"라 하여 얼굴 전면과 목을 가리는 마스크가 당당히 갑옷의 일부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평범하게 얼굴만 가려도 좋지만 위엄있는 수염을 달거나 송곳니가 튀어나온 괴물의 모습을 새기면 더 좋다.

유물은 남아 있지 않지만, 우리나라에도 가죽 마스크 정도는 있지 않았을까?

방독 마스크를 쓴 독일군. 얼굴을 내놓은 것에 비해 "포스" 가 다르지 않은가...

근대 이후에는 얼굴을 가리는 경우가 드물어졌는데, 철모로 눈 언저리를 그늘지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독일군의 철모나 현재의 경찰 제복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무장 친위대 모집 포스터

4. 어깨선을 강조한다.

강한 남성의 이미지를 강조할 때 "떡 벌어진 어깨" 라는 말이 있듯이, 갑옷 또한 어깨를 세워우는 것이 좋다. 이 점에서는 아예 어깨에 두르는 방어구가 있는 일본 갑옷이 아주 발달했다.

한국 갑옷이 볼품없어 보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어깨선 때문에 그렇게 보일 확률이 높다. 한국은 문치 국가였고, 이런 곳에서는 지배 계급의 복장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듯한 모습을 하여 원초적인 공격성을 완화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어깨선 좀 넣으면 한국 갑옷도 못 봐줄 물건은 아니다.

일본의 경우는 무사들의 옷에도 어깨선을 강조한다. 제다이 복장도 마찬가지.

갑옷의 중요성이 급감한 근대 이후 견장으로 대체되었다. 견장도 지금은 사관 생도들의 복장에서나 볼 수 있다.

+ 1: 약간의 장식들

이 외에도 남성미를 과장하기 위한 이런저런 장식들이 덧붙는데, 가슴 갑옷에 아예 "王자 갑빠"를 새겨버린 고대 그리스의 갑옷들이나 금수의 왕 호랑이 가죽을 사용한 갑옷, 송곳니가 튀어나온 귀신을 새긴 갑옷 등이 있다.

  • 갑옷이 아니면서도 사실 위 조건들에 모두 들어맞는 것이 하나 있는데, 그건 바로 건담의 자쿠 디자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