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하나의 이유

점유율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들 (2014.01.16) 안드로이드 광신도들이 입버릇처럼 하는 말 중에 이런 게 있다: "어차피 대부분의 기능은 안드로이드에서도 된다고요!!" "님이 아무리 우겨도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더 높거든요?" 이 친구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안드로이드와 기능적으로 별로 다르지도 않은 아이폰을 쓰는 건… (더보기)

점유율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들

시장 점유율의 함정: 10명 중 8명이 안드로이드를 쓴다고? (원문)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개념 하나 소개하자. 소프트웨어 그리고 IT 산업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이다. 간단히 말해서 A의 입출력이 B의 입출력에 따라 결정될 때, A는 B에 의존한다고 한다.… (더보기)

창조는 어떻게 교육되는가

"창조 경제를 이끌 창조 인력을 대거 양성하겠다." 씹는다고 다 말이 아닙니다. 1. "어휴, 하여간 그 캔버스의 압박! 안 그래도 큰데 마감 전날에 보면 두 배는 더 커요. 언제 다 채워!!" "아 이거 남의 일이 아닌데 ㅋㅋㅋㅋ 제출 한 시간 남았는데… (더보기)

인문전: 게임업계가 문인들을 먹여 살려야 한다고?

"나는 참말로 글이 쓰고 싶다, 그런데… '수입'이 없다" (세계일보, 2013.12.10) 어느덧 8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대다수 문인이 궁핍한 건 마찬가지인 듯하다. 가족도, 친지도 없어 노숙자로 거리를 전전하다가 알코올성 정신질환에 걸려 결국 병원에 강제로 입원당한 소설가 김모(56)씨의 사연은 우리나라… (더보기)